로즈앤 칼럼

산부인과 전문의가 똑똑하게 들려주는 이야기

로즈앤 여성 의학 칼럼

여성을 위한 성의학 칼럼

여성질환자궁내막증 진료실 이야기 ② 조용히 손상되는 난소,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

2025-06-11
조회수 62

안녕하세요, 나를 더 사랑하는 방식-

로즈앤의원 박영 원장입니다.

이번 로즈앤 의학칼럼에서는 자궁내막증, 그 중에서도 난소에 생기는 자궁내막종(endometrioma)이 어떻게 난자의 질을 떨어뜨리고, 난소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는지를 이야기합니다. 논문에 근거하다보니 다소 내용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나, 최대한 객관적으로 전해드리고자 하니 천천히 읽어주세요- 



위 그림은 자궁내막종이 어떻게 난자의 질을 떨어뜨리는지, 그리고 난소 예비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병태생리학적 기전입니다.

자궁내막종은 일반적인 양성 난소 낭종과는 달리, 구조적으로 상피화가 잘 되어 있지 않아 효과적인 장벽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 때문에 독성 물질이 주변 난소 피질로 쉽게 퍼지게 되고 활성 산소를 만들어내게 되지요.

이 활성 산소는 주변 난소 조직에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동시에 섬유화를 촉진합니다.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와 섬유화 반응은 결국 조직 손상과 만성 염증으로 이어지며, 그 결과로 평활근 세포화생(평활근이 존재하지 않는 조직에 평활근 세포처럼 생긴 세포들이 나타나는 것)이 발생합니다.

또한, 혈관이 새로 생기는 것이 억제되면서 난소 내 작은 혈관의 밀도도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난포가 충분히 자라지 못하고, 난포의 성숙과 밀도가 낮아지게 되지요. 결과적으로 이런 병리적 변화들은 난소 예비력의 급격한 감소,즉 AMH 수치와 AFC 수치의 저하로 이어집니다.



앞서 말씀드린 난자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자궁내막종이 없어도, 복막에 있는 자궁내막증만으로도 난임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데요. 

자궁내막증에 의한 염증 반응으로 인해 난관 부속기와 골반 유착이 생기고, 이것이 난관 끝에서 난자를 집어오는 작용(fimbrial pickup)을 방해하거나 배아의 이동(embryo transport)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자궁선근증의 경우에는 배아 착상 실패에 영향을 줄 수 있고요. 



위는 2016년 생식과 유전학 저널(Reproduction and Genetics)에 실린 논문입니다.

저자는 예전에는 '난자 보존'에 대해 암 치료를 받는 사람들만 신경 썼지만, 자궁내막증도 이에 준해서 신경 써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아울러 의사가 치료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한다고 이야기하지요. 

자궁내막증은 수술 이력이 없어도 난소 조직 손상 위험, 불임, 배란 유도 반응 저하, 조기 폐경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논문의 내용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자궁내막종이 있는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의 난소 예비력 차이를 AMH, AFC, 통제된 난소 과자극(COH) 결과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는데요. 지금부터 각 항목을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 보겠습니다. 


① 항뮬러관 호르몬 수치(AMH)

셰블(Shebl), 후(Hwu), 운쥬(Uncu) 등의 연구에서는 자궁내막종 환자가 대조군에 비해 AMH 수치가 유의하게 낮았습니다.

예: 셰블 연구 - 2.57 대 3.46 / Hwu 연구 - 2.34 대 3.31 (모두 P값 < 0.001)

전체적으로는 EMA 이 난소 예비력을 저하시킨다는 근거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② 초음파 난포 수(AFC)

알모그(Almog), 비아키아르디(Biacchiardi) 연구에서는 병변 난소가 반대편 정상 난소보다 AFC가 현저히 낮았습니다.

예: Biacchiardi 연구 - 3.3개 대 8.4개 (P값 0.0001)

이는 자궁내막종이 국소적으로 난소 조직에 손상을 준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③ 통제된 난소 과자극 결과(COH)

이는 IVF 시 얼마나 많은 난자를 채취할 수 있었는지를 의미하는데요. 시험관 시술(IVF) 시 회수된 난자 수가 자궁내막종 환자에서 더 적었습니다.

예: 오푀엔(Opøien) 연구 - 자궁내막종 환자 8개, 대조군 9.2개 (P < 0.01)

쿰박(Kumbak) 연구 - 13.9개 대 16.4개

특히 쿰박(Kumbak) 연구에서는 평균 13.9개 대 16.4개로, EMA 환자가 동일 조건에서 더 적은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자궁내막종은 AMH, AFC, 난자 채취 수 등에서 모두 난소 예비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논문의 저자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궁내막종 환자에게는 조기 평가와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럼 ‘자궁내막종이 난소를 이렇게 나쁘게 만든다면... 빨리 수술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 수 있지요.

그래서 저 로즈앤의원 박영 원장이 준비한 다음 연구는 영국 노팅엄 대학교 프란체스카 라프(Francesca Raffi) 연구팀의 연구로, 2012년 내분비학 및 대사 저널(Endocrinology & Metabolism)에 실린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입니다.



내용은 자궁내막종 수술 전후의 AMH 수치 변화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총 8개 연구, 237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술 후 AMH 수치는 평균 1.13 ng/mL 감소했습니다. 95% 신뢰 구간- 1.88 ~ -0.37 / P = 0.003 →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를 보여주었지요. 

히로카와, Hwu 등의 연구에서도 1.8 ng/mL 이상 큰 감소가 나타났는데요. 이 결과는 자궁내막종 수술이 난소 예비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이며, 수술 여부를 결정할 때 환자의 미래 임신 가능성까지 고려한 충분한 설명과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자궁내막종,

그냥 두면 좋아지지 않는 질환

자궁내막종은 단순히 생리통이나 불편함을 유발하는 질환이 아닙니다. 난소 예비력을 점진적으로 저하시켜 임신 가능성을 떨어뜨리고, 치료 시기를 놓치면 조기 폐경이나 난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복합적이고 중요한 질환이지요. 

아울러 치료의 목적은 단순한 병변 제거가 아닌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그리고 가임력을 지키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통증이 심하지 않다고 해서 차일피일 미루기보다는,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해야할 거예요. 

언제나 여러분의 건강한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 지키고픈 로즈앤의원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도움이 필요하다면 편하게 찾아주세요. 다음 로즈앤 의학칼럼에서는 자궁 내막증의 치료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자궁내막증 진료실 이야기①

비잔 처방, 언제 시작할까요?▼


로즈앤의원
진료 시간
  • 평일 오전 10:00 ~ 오후 1:00, 오후 2:30 ~ 7:00
    (휴게시간 오후 1:00 ~ 2:30) 
  • 토요일 오전 10:00 ~ 오후 3:00
  •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진입니다.

진료 예약 안내

로즈앤의원은 내원해주시는 환자분들께서 편하신 시간에 진료받으실 수 있도록 사전예약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내원하시기 전 네이버예약 혹은 전화로 예약하시면 보다 쾌적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증명서 발급

로즈앤의원은 고객의 편의를 위해 온라인 증명서 발급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로즈앤에서 진료받으셨다면 필요한 서류는 

온라인으로 발급받으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

유튜브

인스타그램

블로그

로즈앤의원
064-803-3723
진료 시간
  • 평일 오전 10:00 ~ 오후 1:00, 오후 2:30 ~ 7:00
    (휴게시간: 오후 1:00 ~ 2:30)
  • 토요일 오전 10:00 ~ 오후 3:00
  •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진입니다.
예약 안내

로즈앤의원은 내원하시는 환자분들께서 편하신 시간에 진료받으실 수 있도록 사전예약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내원하시기 전 네이버예약 혹은 전화로 예약하시면 보다 쾌적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증명서 발급 안내

로즈앤의원은 고객의 편의를 위해 온라인 증명서 
발급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로즈앤에서 진료받으셨다면  필요한 서류는 온라인으로 발급받으시기 바랍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